특새 단상
Posted 2010. 1. 9. 08:38, Filed under: I'm churching/House Church연초가 되면 교회들은 저마다 특새를 하느라 분주하다. 일주일은 기본이고, 두 주나 세 주에
걸쳐 하는 교회도 꽤 눈에 띈다. 새해 벽두를 중시하는 분위기는 교회라고 예외가 아니어서 전에도
연초가 되면 특별새벽기도회를 하는 교회들이 없었던 건 아니었으나, 요즘처럼 특새가 유행이
된 것은 연중 퍼레이드 식 새벽기도로 유명한 명성교회와 몇 해 전 외부 강사들을 초대해
대대적인 캠페인을 벌인 사랑의교회에서 히트를 친 다음부터이다.
우리교회도 이 흐름에서 예외는 아니어서, 서너 해 전부터 연초 한 주간을 특새 주간으로
광고하고, 열심히들 모여 기도하는 것 같다. 월요일부터 몰아닥친 한파와 기록적인 폭설이
무색할 정도로 연일 예상보다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마지막날인 토요일 새벽엔 빈자리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가득 차 무슨 주일예배에 온 것 같기도 했다. 우리에게도 이런 간절함이
있었구나 하는 공감대가 서로의 발걸음을 재촉하게 만든 것 같다.
우리교회의 특새는 조금 특이한 것이, 해마다 책 한 권을 선정해 그 책을 요약 설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조엘 오스틴의 <긍정의 힘>, 릭 워렌의 <회복으로 가는 길>, 이재철의
<회복의 목회> 등에 이어 올해는 강준민의 <위기를 극복하는 바라봄의 능력>이 텍스트북으로
선정됐다. 연초부터 책도 읽고, 거기에 기대어 기도도 하는 나름대로 신선한 기획으로 받아들여진다.
오스틴의 책을 빼곤 나름대로 좋은 책들인데, 문제는 인도 방식이다. 우선 매일 새벽 시간에
다루기엔 조금 길게 느껴지는 A4 앞뒤 한 장 분량의 프린트물은 성경을 읽는 것도, 그렇다고 저자의
핵심 사상을 짚어주는 것도 아니어서 조금 지루하게 느껴진다. 요점만 두어 군데 짚어주면서
저자가 다루고자 하는 내용을 한두 가지 질문 형식으로 던져주면 하루 종일 곰곰 떠올리면서
기도제목으로 삼을 수 있을 텐데, 너무 많은 분량은 새벽부터 생각을 복잡하게 만든다.
그리고 기도제목을 주면서 합심기도를 요청할 때도 설명이 긴 편이라, 듣다 보면 기도할
포인트를 놓칠 때가 종종 생긴다. 그냥 쉽게 한 제목씩 기도하게 하면 좋을 텐데, '세 가지'
기도제목을 주기 때문에 세 가지 다 제대로 못 구할 때가 많이 생긴다.^^
여기에 올해는 우리가 즐참하기 조금 곤란한 상황이 하나 더 생겼는데, 세겹줄 기도회라
해서 미리 세 명이 한 조를 이뤄 서로의 기도제목을 나누고 매일 같이 기도하게 하는 방식이었다.
애시당초 이 방식이 별로 땡기지 않던 우리는 세겹줄 파트너를 미리 만들지 않았고, 초반 사흘을
건너뛰고 출석 도장 찍듯 목, 토 이틀만 참석하면서 특새 순서 후반부의 세겹줄 기도시간에는
서둘러 나와야 하는 다소 민망한 상황을 맞게 됐다.
아마도 내 영성 가운데 가장 취약한 부분이 기도임은 내남이 크게 부인하지 않는 것이지만,
그래도 요즘과 같은 '묻지마 따지지마 그냥해' 특새 열풍은 고개를 갸우뚱거리게 하는 구석이
있다. 모름지기 새벽에 하는 기도라면 말씀과 찬송, 기도 순서 등에서 좀 더 새벽적인 정서를
자극하면서 기도의 품에 얼굴을 묻고 꿈같은 시간을 보내게 할 순 정녕 없는 걸까.
'I'm churching > House Chu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밑바닥 정서와 패러다임 변화 (2) | 2010.06.08 |
---|---|
빵꾸똥꾸 (0) | 2010.03.19 |
기획위원회 리트릿 (4) | 2010.01.27 |
인상적인 전원교회 (11) | 2010.01.25 |
특새 단상 (8) | 2010.01.09 |
공간과 공동체 (4) | 2009.12.22 |
-
사람의 수보다 말씀의 질을 중시했으면 좋겠다는 말씀으로 들려요.
수를 전혀 무시할 수는 없지만 수는 일정선을 넘기면 오히려 질을 파먹어 버리는 요인도 되는 것 같아요.
근데 질에 집착하는 그런 공동체가 가능하긴 한걸까요.-
새벽 시간에 모인 사람들에게 좀 더 피부에 와닿는 말씀(방식)이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구요,
모임 형식도 공급자(주최자, 인도자) 위주가 아니라 수요자(참석자)를 좀 더 고려하면 좋겠지요.
근데, 지도자들은 이 말이 무슨 말인지 별로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 것 같아요.
좀 더 치열한 고민, 성실한 기획, 친절한 홍보 등에서 교회는 아직 한참 먼 것 같다는 생각을 종종 하게 됩니다. -
수요자^^들도..요구를 좀 적극적으로 해주면 좋을텐데요
목장모임에서 얘기하기는 어렵지 않을듯 싶은뎅요.
새벽예배 말씀 공감이 많이 갑니다. -
에구, 수요자들은 끽 소리 못하고 그냥 최선을 다하는 것 같았어요.
제대로 나오지도 않았으면서 뭔 할 말이 많은 거냐는 돌멩이 날아들지도 모르겠어요. -
푸하하..
짱돌은 피하시길..
-
-
마감은 다 하셨어요?
마감 중에 이렇게 생각이 많은 글도 올리시고... 긁어주실 곳을 살짝, 시원이도 긁어주시공~^^
저는 일단 특새 아침을 지키지 못해서 여러모로 불편한 마음을 갖고 있었어요.
순종도 부족하고 기도도 부족하여
특새가 다 끝난 아침에는 순종하여 순종의 은혜를 누리는게 더 낫진 않았을까 싶을 정도였답니다.
그만큼 특새를 지키지 못한 찜찜함이 남았더랬어요.
그리고 올 특새로 누린 은혜를 나눌만한 사람이 없어서 아직 그 은혜도 거저 업어오지 못한 상태라
판단을 좀더 미루고는 있답니다.
다만 특새 이후에 대한 생각은
특새기간을 잘 지켜서 나는 해냈다는 기쁨과 더불어
특새기간에 나누고 결심한 것들을 잘 이어갈 수 있는 다른 대안이 있었으면 좋겠어요.
그래야 개인기도에서 머물지 않고 나 자신의 성숙과 더불어
공동체가 더불어 커가는 즐거움과 기쁨이 함께 한다면,
그래서 그 공동체가 스스로 살아있는 유기체처럼 돌아간다면,
한 사람 한 사람이 주인이면서 동시에 모두가 주인인 그런 공동체가 가능하지 않을까 싶어요.
제가 좋아하는 성경구절 중에 합력하여 선을 이루라라는 부분인데,
좋은 나눔과 토론, 그리고 기도를 통해 선을 이루어가는 과정들을 행복하게 누려보고 싶어요.^^-
네. 오후에 오케이 했습니다.
편집자들의 마감 압박은 대단하지만, 저는 편집 실무를 약간 떠나 있기에 그리 심하진 않답니다.
예전 같으면 교회 홈피에나 쓸 소재를 블로그에 올릴 수 있어 좋구요.
저는 특새 빠지면서도 솔직히 아무런 가책을 못 느꼈어요.
평소 부지런하지도, 열정적이지도, 간절하지도 않은 성격 탓일 거에요.
다만, 주최측에서 조금 더 안정적이고 여유 있는 분위기를 유지해 주었다면,
혹 마음이 동했을지는 모르겠어요. -
맞아요. 감동을 주었어야 했는데... 많이 아쉬운 부분이죠ㅜ.ㅜ
-